본문 바로가기

사설 칼럼

[114호] 이런 '특별함'인가?

박승일 기자

‘특별한 서강’을 만들겠다던 목표는 어느새 그 내부에서부터 침몰하기 시작했다. 대외적 지표에 일회일비하지 않고 오로지 서강대만의 고유한 색깔을 만들겠다던 다짐은 뒤쳐진 자의 변명으로 폄하되더니 급기야 집에서 새는 바가지부터 잘 관리하라는 비난으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경영대학원 교수의 비리 의혹은 학교 측의 이해할 수 없는 대응으로 인해 더 큰 문제가 되고 있다. 해교(害校) 혐의로 징계 처리한다는 웃지 못 할 대응은 과연 진리의 전당이라는 대학이 이토록 무식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구심마저 낳게 한다.

교수회의에 참석한 한 교수는 “학교가 내부의 잘못을 시정하려고 문제를 제기한 교수들을 처벌한다면 보복 조처로 보일 수밖에 없다. 학교의 명예를 더 실추시키는 일이다”라고 지적했다. 권위주의적 정부마저도 내부 고발자에 대해 안전제도를 확립하려는 마당에 비리에 대한 정당한 문제제기를 해교라는 명분으로 징계하는 건 도대체 무슨 까닭인가.

총장 취임 1년을 무탈하게 넘기려는 욕심을 지나치게 솔직하게 표현한 것인지 아니면 허락도 받지 않고 외부 언론을 통해서 이슈화한 것에 대한 괘씸죄인지 그것도 아니면 처벌조차 제대로 하지 못할 만큼의 무능력인지 ‘배움이 짧은’ 학생들로서는 알 길이 없다. 그 가운데 불거져 나온 폭행과 부적절한 성 문제까지, 그야말로 진흙탕 개싸움이 돼가는 양상이다. 학교 측에서 징계위원회를 조직해서 수습한다고 하니 지켜볼 일이지만 그간의 잃어버린 신뢰를 얼마만큼 회복할 수 있을지, 오래된 관행으로 치부되던 연구비 횡령을 발본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지 염려가 되는 게 사실이다. 이 와중에 대학원생들은 지도교수들의 편 가르기에 휘말려 어떤 불만도 제기하지 못한 채 그 피해를 오롯이 감내하고 있다. 

지금의 사태를 해결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대학 측의 솔직한 자기반성과 함께 횡령과 관련한 모든 의혹을 불식시킬 수 있는 공정한 처리밖에 없다. 재발 방지를 위해 제도적 대책을 마련하는 것은 물론, 빈번하게 제기되는 교수 비리에 대한 엄중한 처벌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솜 방망이식 처벌만으로는 잠시 외국 좀 다녀왔다가 복직하기 전까지의 기간 동안 휴식 시간을 제공할 뿐이다. 이는 과거에 성폭력으로 파직된 교수가 버젓이 강의를 하고 있는 것만으로도 여실히 증명된다.

프로젝트를 많이 수주하고 대학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윤리적 부패의 면죄부가 아님은 두말 할 것도 없다. ‘특별한 서강’을 만들고자 한다면 윤리적 잣대부터 바로 세울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고서야 누가 그 뒤를 따르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