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푸코
- 서강대학원신문
- 서강대대학원
- 메타버스
- 대학원
- 서강대 대학원 신문
- 김항
- 서강 대학원 신문
- The Social
- 나꼼수
- 서강대학원
- 서강 대학원
- 소통
- 이명박 정권
- 정치유머
- 사회적인 것
- 서강대학원 신문
- 총학생회장
- 서강대학교 대학원
- 서강대학교
- 서강대학교 대학원 신문
- 불안
- 아감벤
- 서강대 대학원
- AI
- 논문
- 비정규 교수
- 조효원
- 파시즘
- 김성윤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가치다원주의 (1)
서강대 대학원 신문사
포스트모던 사회는 가치다원주의 이념아래 수많은 권위들이 평등한 지평에서 논의되고 다양한 갈등과 담론들이 활발히 유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처의 포스트모던 이론에 영향을 받은 사회운동들은 현 사회 시스템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갈등을 공론화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낳는 듯 보인다. 그러나 이 과정에 법이 개입하면서 문제가 발생한다. 권리를 요구하는 주체들이 ‘제도와 법의 바깥’에 대해 질문을 던지거나 정당성을 주장할 경우 그들의 ‘문제화’ 과정은 ‘위법’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포스트모더니즘과 법은 이상한 방식으로 착종되어 더 이상 삶과 법이 구분되지 않는 형상을 보이고 있다. 폭력적인 법의 힘 앞에 모든 삶과 사회가 내맡겨진다. 이러한 문제는 법(法)이 곧 정의(正義)로 이해되는 데에서 비롯된다. 과연..
기획
2013. 12. 20. 18: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