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나꼼수
- 서강대 대학원
- 불안
- 서강대학원신문
- 아감벤
- 비정규 교수
- 소통
- 서강대대학원
- 사회적인 것
- 서강대학교 대학원
- 서강대 대학원 신문
- 메타버스
- 서강 대학원 신문
- 논문
- 서강대학원 신문
- 총학생회장
- 김성윤
- 조효원
- 대학원
- AI
- 서강대학교 대학원 신문
- 푸코
- 정치유머
- 서강대학원
- 서강대학교
- 이명박 정권
- 파시즘
- 김항
- The Social
- 서강 대학원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똥파리 (1)
서강대 대학원 신문사
[109호] 아내폭력과 『똥파리』
최지나 (여상힉협동과정 석사과정) 양익준 감독의 영화 『똥파리』는 보다 구체적인 방식으로 ‘가족’을 보여준다. 영화 『똥파리』 속 인물들의 가족은, 가족 개개인들이 평생에 걸쳐 지게 될 짐짝이나 다름없는 공포와 상처의 기억이다. 이는 가족이 결코 자원이 될 수 없는 가난한 사람들의 생활이며, 드러낼 수 없는 금기와도 같았던 ‘핵가족 이데올로기’의 한 단면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적나라한 재현에서도 젠더의 프레임을 적용하면 ‘아내 폭력’이라는 또 다른 문제가 보이기 시작한다. 나는 영화 『똥파리』가 저예산 독립영화임에도 불구하고 괜찮은 흥행성적을 올리고 있는 것은 ‘가족만이 희망이다, 내 가족밖에 없다’는 식의 한국사회의 가족담론에 균열을 내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 가족이야기를 재현하는 방..
비평
2012. 2. 4. 2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