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불안
- 논문
- 사회적인 것
- 소통
- 나꼼수
- 서강대학원신문
- 서강대학원
- 총학생회장
- AI
- 이명박 정권
- 김성윤
- 정치유머
- 서강대학원 신문
- 아감벤
- 서강대학교 대학원
- 서강대 대학원
- 비정규 교수
- 대학원
- 메타버스
- 조효원
- 서강대학교
- 서강대학교 대학원 신문
- 서강대 대학원 신문
- 서강대대학원
- 서강 대학원 신문
- 서강 대학원
- The Social
- 김항
- 파시즘
- 푸코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음악의 전시 (1)
서강대 대학원 신문사
포스트모더니즘의 예술 문법 백남준, ‘음악의 전시’에서 ‘포스트-비디오아트’까지 이광우_백남준아트센터도슨트 백남준은 비디오아트의 아버지? 1963년, 독일의 부퍼탈(wuppertal)에 위치한 파르나스 화랑(Galeire Parnass)에서 세계 최초의 비디오 아트 전시회이자 백남준(1932~2006)의 첫 개인전이 개최되었다. 제목은 . 제목의 앞 글자를 합하면 Expel. 백남준은 무엇을 추방하고 싶었던 것일까? 그것은 아마도 새롭지 못한 모든 예술양식 이었을 것이다. 우리에게 백남준은 ‘비디오 아트의 창시자’, 혹은 ‘비디오 아트의 아버지’와 같은 피상적인 명칭으로 각인되어 있다. 물론 백남준과 TV가 강력한 연관관계를 맺고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 하지만 그를 단순히 ‘비디오 아티스트’라는 명칭으..
기획
2013. 12. 20. 1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