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총학생회장
- 서강대 대학원
- 푸코
- 서강 대학원 신문
- AI
- 서강대학원신문
- 조효원
- 서강대대학원
- 서강대학교
- The Social
- 사회적인 것
- 논문
- 정치유머
- 비정규 교수
- 서강대학원 신문
- 아감벤
- 대학원
- 파시즘
- 메타버스
- 서강대 대학원 신문
- 서강대학원
- 이명박 정권
- 김성윤
- 소통
- 서강대학교 대학원 신문
- 서강대학교 대학원
- 김항
- 나꼼수
- 서강 대학원
- 불안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정보공개제도 (1)
서강대 대학원 신문사
박승일 기자 논문을 쓰다보면 구체적인 데이터 그것도 최신의 데이터가 필요할 때가 많다. 특히 사회과학을 전공할 경우 데이터 확보야말로 필수적인 요소일 텐데, 문제는 인터넷이나 문헌만으로는 최신의 정확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다는 데 있다. 하지만 당당하게 정보를 요구하는 방법이 있으니 ‘정보공개제도’가 바로 그것이다. 정확한 정보야말로 논문의 조건이 아니던가. 실례로 작년 정보공개청구 캠페인에서 대상을 차지한 ‘서울경기지역 고시원 현황’을 보면, 서울 인구 1%에 달하는 10만명이 고시원에 살고 있으며 구로, 송파, 강남, 서초 등에 고시원이 대폭 늘어났다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그야말로 논문 주제라 할만하다. 올해 대상을 수상한 ‘서울 전통시장과 기업형 슈퍼마켓(SSM) 현황’ 역시 논문 주제라 할 수..
보도
2012. 2. 27. 1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