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서강대학원신문
- 총학생회장
- The Social
- 메타버스
- 소통
- 서강대 대학원 신문
- 김성윤
- 서강대학원 신문
- AI
- 파시즘
- 나꼼수
- 정치유머
- 사회적인 것
- 불안
- 대학원
- 비정규 교수
- 서강대학원
- 푸코
- 김항
- 이명박 정권
- 서강대학교
- 서강 대학원 신문
- 아감벤
- 서강대 대학원
- 서강대학교 대학원 신문
- 조효원
- 서강대대학원
- 서강대학교 대학원
- 논문
- 서강 대학원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죽음을 기억하라 (1)
서강대 대학원 신문사
[109호] Memento mori (죽음을 기억하라)
박승일 기자 죽음을 말하는 건 항시 조심스럽다. 죽은 이에 대한 예의 때문이 아니라 남은 자에게 지속되는 기억의 고통 때문이다. 그 치유할 수 없는 상흔은 ‘무의지적 기억’ 속에 고이 잠들어 있다가 불현 듯 기억 속으로 소환되어 ‘네’가 죽었음을 지금-여기에서 확인 시킨다. 그 앞에서 남은 자는 말없이 흐느낄 수밖에 없다. 죽음이 슬픈 건, 그 죽음이 바로 ‘너’의 죽음이기 때문이다. 내가 그토록 사랑했던 ‘너’의 죽음이기에, 정지용 시인의 마냥 “유리에 차고 슬픈 것이 어른거림”을 주체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것은 나의 존재를 공백으로 만드는 빠져나올 수 없는 심연 속 허무이다. 헌데 모든 죽음이 기억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죽음은 시간이 지나도 계속해서 기억되는 반면, 어떤 죽음은 아무도 기억하지 않..
사설 칼럼
2012. 2. 4. 2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