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서강대 대학원 신문
- 불안
- 서강대대학원
- 김성윤
- 서강대학교 대학원 신문
- 이명박 정권
- The Social
- 파시즘
- 총학생회장
- 서강대 대학원
- 아감벤
- 논문
- 푸코
- 서강 대학원
- 서강대학원 신문
- 소통
- 비정규 교수
- 나꼼수
- 서강대학원신문
- 대학원
- 서강 대학원 신문
- 서강대학원
- 김항
- 메타버스
- 서강대학교 대학원
- 서강대학교
- AI
- 조효원
- 정치유머
- 사회적인 것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결혼 에로틱한 우정 (1)
서강대 대학원 신문사
[120호] 결혼들
결혼들 『결혼, 에로틱한 우정』에 대한 몇 가지 소고 양경언 (문학평론가, 서강대 국문과 박사과정) 강요된 종착지로서의 ‘결혼’과 ‘사랑’이라는 필요조건 어쩌면 당신은 언제나 어느 정도의 오해를 동반한 채 ‘결혼’이라는 말(言)을 사용했을지도 모른다. 그 오해를 달리 표현해 ‘사랑’이라 하자. 사회가 부여한 하나의 제도로서, 혹은 삶의 필수적인 지표로서 결혼을 무리 없이 포장할 수 있는 배경이 바로 ‘사랑’ 이다. 하여 결혼은 연애 이후 지속가능한 사랑의 실현을 위한 진전된(?) 관계 맺기의 방식으로 논해지거니와 생애주기에서 응당 거쳐야할(?) 과정이므로 ‘기왕이면’ 사랑하는 사람과 맞이해야만 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요컨대 ‘결혼’은 ‘사랑하기 때문에 하는 것’이라는 말로 편리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다. ..
기획
2012. 4. 10. 2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