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25호] 건축, 건축학, 그리고 우리의 건축학 연구 1. ‘건축학(建築學)’이란 물론 건축을 연구하는 학문 분과다. 그러나 여기에는 다시 ‘건축은 그럼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꼬리를 문다. 사전적으로 이것은 ‘건물을 설계하고 짓는 기술 혹은 예술’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며, 더 쉽게는 ‘집짓기 술(術)’이라 요약할 만하다. 하지만, 모든 정의가 다 그렇듯, 이처럼 딱딱한 규정만으로 건축의 의미를 포괄하긴 힘들다. 20세기를 대표하는 건축가인 프랑스의 르 코르뷔제(Le Corbusier, 1887~1965)가 건축을 “빛에 비추인 볼륨들의 능숙하고, 정확하고, 장려한 유희”라고 서술함으로써 건축에 시적 울림을 부여한 사실은 널리 알려진 바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종종 언급되듯 ‘아키텍쳐(architecture)’의 어원을 헬라어 ‘아르케(arche: 사물의.. 더보기
[125호] 현대무용은 오늘날 몸문화, 몸사상의 이상적 구현체 현대의 극장예술을 이끌고 있는 두 대표적인 예술 영역을 꼽아낸다고 하면 연극과 무용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 연극은 많은 경우 희곡, 혹은 대본이라고 하는 것을 매개로 주로 언어와 행동을 사용하여 무엇인가를 표현하는 것이라면, 무용은 언어를 거치지 않고 바로 몸짓을 써서 인간의 감정이나 어떤 이미지, 혹은 사상을 전달한다. 물론 이 이외에도 음악과 연극의 결합체라 할 수 있는 고급스런 오페라와, 보다 대중적인 뮤지컬이 있겠지만(우리의 경우 창극), 두 영역은 예술 창조와 그 수용의 측면에서 그리 다양하거나 폭넓지는 않다 하겠다. 반면, 오늘날의 연극이나 무용은 매우 다양한 층위에 걸쳐 수용되거나 교육되면서 그 표현의 측면에서 놀랄 만큼 다채로움을 보여주고 있다. 이중 특히 현대무용은 현대적 삶의 감성을 매.. 더보기
[125호] 사진의 또 다른 문맹과 비주얼 리터러시 오늘날 우리가 접하는 정보들은 대부분 매스-미디어와 멀티-미디어 그리고 스마트폰 등이 방출하는 시각 이미지, 특히 사진과 동영상으로부터 전달된다. 이러한 환경에서 과거 문맹에 대한 문자 리터러시 교육과 마찬가지로 시각 문맹으로부터 탈피하도록 하는 비주얼 리터러시 교육이 중요해졌다. 리터러시(literacy)라는 말은 원래 1492년 구텐베르크의 활자 인쇄술 이후 문자로 읽고 쓸 수 있는 문식력(文識力)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개념은 사진과 영화의 출현 이후 20세기 후기 정보 산업시대 영상매체의 급진적 발전, 특히 디지털 매체와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해 사진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능력으로서의 비주얼 리터러시로 이해되기 시작했다. 코드를 매개로 하는 문자 리터러시 언뜻 생각하기에 사진을 만들고 이해하는데 무.. 더보기
[125호] 21세기 음악연구, '음악학'의 경계를 넘어 음악, 현대인의 필수품 지하철이나 도서관, 일상의 곳곳에서 이어폰을 끼고 음악을 듣는 모습은 오늘날 전혀 낯선 풍경이 아니다. 에디슨이 축음기를 처음 발명했을 때, 소리를 저장하여 재생한다는 그 새로운 발상이 다음 세기 어떤 변화를 낳을지는 누구도 예상치 못했을 것이다. 그라모폰과 레코드는 그저 스러져갈 운명인 소리를, 순간의 예술인 음악을, 시간성으로부터, 그것이 존재하는 장소성으로부터 해방시켰다. LP와 CD로 음악은 하나의 상품이 되었고, 워크맨의 시대를 지나 mp3의 등장은 무형의 음악파일로 변환된 음악을 전 세계 어디서나 손쉽게 다운받아 들을 수 있게 했다. 아이팟의 재생방식에 익숙한 세대에게는 클래식, 록, 힙합, 월드뮤직 등 음반 시대에 존재했던 음악 장르의 장벽도 사라진다. 헤비메탈과 중세.. 더보기
[125호] 현대미술의 교양은 상아탑 바깥에서 ▲ 정규 미술교육을 받은바 없는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작품. 그는 베니스 비엔날레 전시장에 비둘기 박제 2천 마리를 설치해서 관행적 미술감상과 전시의 문법을 파괴했다. 눈높이 맞춤 교육의 위험 “마르크 샤갈, 모딜리아니, 뭉크 등 예술가의 삶이나 작품을 바탕으로 이들의 창의력의 근원이 무엇인지에 관한 소개를 꼭 글에 포함해서 써주세요.” 한 기업 사보가 필자에게 보낸 원고 청탁서에는 ‘원고 방향’이 이렇게 명시적으로 적혀있었다. 세간에서 예술의 창의성과 연결되는 예술가의 전형으로 무엇을 인식하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또 다른 예를 들어보자. 구청과 기업들이 구민과 임직원을 위해 마련하는 예술 교양 강좌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대략 8회 분량의 커리큘럼 안에 영화 문학 미술 음악 방송 등 분야별 전문가를.. 더보기
[124호] 서강 총장의 계보학 2005년 6월 24일 재단이사회는 서강의 12대 총장으로 손병두 전(前)전경련 부회장을 선임한다. 그의 취임 즈음 서강의 분위기는 불안했다. 입시부정 사태, 해마다 추락하는 대외적 위신과 평가지수의 하락 등 서강의 위기론은 멈추지 않았다. 서강은 예전의 명성을 회복해야 했고 덧붙여 세계적 수준의 비전도 제시해야만 했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의 적임자로 손 전 총장이 선택됐다. 서강 역사상 최초로 신부가 아닌 CEO 출신이었던 그는 철저한 개혁주의자였다. 그는 ‘전경련 부회장’이라는 수식어를 자신의 공약에 십분 활용했다. ‘기부금 1000억 원 모금’, ‘4년 무보수’ 등의 파격적인 약속을 했던 그는 40여 년 동안 경영관리자로서 익혀온 체험과 노하우를 학교발전에 쏟으려는 듯 보였다. 하지만 그가 서강에서.. 더보기
[124호] '항상, 언제나' 함께 하겠습니다, 27대 총학생회 '7/24' 봄바람이 불면서 학교에도 새로운 바람이 부는 듯 합니다. 학교 정문에는 올해 들어 벌써 세 번째 플래카드가 걸렸습니다. 서강 동문인 박근혜 대통령, 유기풍 신임 총장, 현재는 예수회 출신인 프란치스코 교황의 취임을 축하하는 플래카드가 정문과 본관 건물에 크게 걸려 있습니다. 우리대학원에도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조명상 서강대학원 학생회장이이끄는 27대 총학생회‘24/7’가 새롭게 출범했음을 알려드립니다. ▶ 당선을 축하 드립니다. 지난 학기에 총학생회장으로 선출되어 2013년 27대 총학생회가 활동을 시작했는데요. ‘24/7’의 의미를 들어보니 서강대의 상징인‘알바트로스’와‘24시간, 일주일, 일년 내내’ 함께 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듯해 든든하군요. 당선 소감과 학생회장에 출마하게 된 계기 한 말.. 더보기
[124호] 학내 보도 서강의 새로운 패러다임 창출, 14대 유기풍 총장 취임 지난 3월 14일 제14대 유기풍 총장의 취임식이 이냐시오관에서 열렸다. 여러 인사들이 참석해 자리를 빛내 준 가운데, 동문인 박근혜 대통령(전자공학과 70학번) 역시 축하 메시지를 통해 유기풍 총장의 취임을 함께 축하했다. 유기풍 총장은 취임사에서 서강의 새로운 패러다임 창출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전세계 예수회 대학들을 중심으로 학생과 교수를 교환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지구촌 서강 캠퍼스’를 만들겠다는 약속과 함께, 고전적 연구 분야와 혁신적 연구 분야의 균형발전을 위해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행정조직의 개편과 지덕체 교육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도 힘쓰겠다고 덧붙였다. 유 총장은 종합스포츠콤플렉스, 최첨단 디지털 도서관, 스튜던트 유니언,.. 더보기
<2013 여름 강좌> 더보기
[124호] 타인의 욕망을 욕망하는 삶 / 당신의 OK사인을 기다리며 [칼럼] 타인의 욕망을 욕망하는 삶 우리들의 영웅, 뫼르소 2013년은 프랑스 작가 알베르 까뮈의 탄생 100주년을 맞는 해이다. 까뮈의 그림자, 뫼르소는 그의 탄생 100주년을 맞아 다시 세간의 관심을 받게 되었다. 부조리한 세상에 대항한 대가로 결국 죽음을 맞은 주인공에 대한 각종 서평과 감상문이 넘쳐 나지만 그의 죽음을 부조리에 대한 투쟁의 결과라고 보기에는 어쩐지 석연치 않게 느껴진다. 사형이 집행되는 순간까지도 타인과 타협하지 않는 그의 자아가 극단적으로 느껴지면서도 세포를 자극하는 건, 사소한 결정에도 타인을 의식하는 우리의 빈약한 자의식 때문은 아닐까. 우리는 어쩌면 타인이 정해 놓은 신념이나 구조를 의심 없이 신봉하고 그것을 위해 내 목숨까지 버리를 영웅주의에 젖어 있는지도 모르겠다. 타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