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집

[108호] 진화론의 진화-생물학을 넘어 사회학으로 가다


















다윈 200주년 - 종의 기원 출간 150주년 기념
취재기자 안진선

진화론의 진화-생물학을 넘어 사회학으로 가다

진화론은 과학의 영역을 넘어 문화, 예술에까지 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윈은 이를“진화론과 성공적으로 결합시킨 사례”라고 언급했으며 유전학자 도브잔스키는 진화의 개념을 통하지 않고 생물학의 그 무엇도 의미가 없다고까지 말했다. 생물학의 영역을 넘어 진화론은 사회를 해석하는 사회 생물학, 인간의 심리를 해석하는 진화심리학, 그리고 경제를 설명하는 진화경제학으로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다.

사회생물학

고래는 부상당한 동료를 함께 수면으로 밀어 올리고, 코끼리는 넘어진 동료를 함께 일으켜 세워준다. 매를 처음 발견한 지빠귀는 경고음을 냄으로써 자신의 위치를 노출시키지만 다른 새들이 도망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 적자생존을 주요 개념으로 하는 진화론에서‘이타적’행동은 납득하기 어려운 현상이다. 이러한 사회적 행동을 진화과정의 결과라고 보는 것이 바로 사회생물학이다. 사회생물학은 미국의 생태학자 윌슨이 저서‘사회생물학의 새로운 종합’을 발표하며 처음 제기했다.

사회생물학은 이를 설명하기 위해 두 가지 전제를 사용한다. 첫째, 생물은 종의 번식보다 종족의 번식을 우선시한다는 것이다. 즉, 개체 자신의 생존과 번식을 희생하더라도 유전적으로 가까운 다른 개체의 번식 성공률을 충분히 높일 수 있을 경우 이타적 행동을 지배하는 유전자가확장된다는 것이다. 두 번째 전제는 개체의 행동이 집단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집단에서 공통된 행동을 하게 되면 침입자가 발생하더라도 쉽게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두 가지 특성은‘종’이 보다 안정된 삶을 구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사회생물학은 생물 집단을 총망라하여 어떻게 이들 사이에 집단이 형성되고, 제도가 생겨나며, 이타적 행동이 발현되는지를 연구한다.

개체보다 종을 우선시하는 유전적 특성은 사회적 행동,즉, 동물 사이의 결혼과 육아, 계급, 경쟁과 협력 등과 결합하여 진화한다. 사회생물학은 인간 행동의 유전적 기초를 파악함으로써 제도의 발생과 진화를 설명하고자 하는것이다. 문화의 계승에 있어 유전자가 어떻게 작용하는가는 앞으로 남은 주요한 연구 과제 중 하나이다.

진화심리학

고대부터 철학자들은 인간의 심리를 신념과 욕구를 통해 설명했다. 그러나 1920년대 이후 윗슨과 스키너는‘신념이나 욕구는 실재하는 것이 아니라 상상의 산물일 뿐’이라고 주장하고, 외부의 자극에 의한 행동만으로 인간의 정신적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는 이른바 행동심리학을 주창했다. 하지만 60년대 이후 심리학자들은 인간의 행동을 설명할 때 신념과 욕구를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고 주장하는 인지심리학을 주창한다. 진화심리학은 진화론적 관점에서 심리를 이해하려는 학문으로 신경계를 가지고 있는 동물 모두에 적용할 수 있지만 주로 인간의 심리를 연구한다. 인지심리학은 인간에게는‘마음’의 영역이 존재하고,그 마음은 컴퓨터와 같이 매우 복잡한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말한다. 이 때‘마음’을 설명하는 요소로 진화생물학을 차용한 것이 바로 진화심리학인 것이다. 진화심리학은 마음이 매우 복잡하게 설계되어 있으나 이는 계획적으로 이뤄진 것이 아니라 임의의 자연선택 과정을 통해 일어났다고 본다. 언어습득, 시각 등 매우 복잡한 매커니즘을 가진 일종의‘모듈’이 중앙처리장치 없이 각자의 영역에서 활동한다는 것이다. 이를 자연선택에 의해 진화된 심리학적 적응(Evolved Psychological Mechanisms, EPMs)이라고 하는데, 대표적인 EPMs로는 시각, 청각,기억, 운동 제어가 있다. 이러한 각각의 영역에서 인간의 ‘마음’이 어떻게 진화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바로 진화심리학의 연구주제라고 할 수 있다.

진화경제학

경제적 현상을 바라볼때 경제주체로서 인간의 특성을 고려하는 것을 진화경제학이라 한다. 진화경제학에 대한 정의는 현재 학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하지만 논의의 시작은 리처드 넬슨과 시드니 윈터의‘경제 변화의 진화이론’을 통해 처음으로 시작됐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진화경제학은 고전경제학과 달리 경제주체의 선택에는 효율성 외에도 다른 조건들이 작용할 수 있다고 볼 뿐만 아니라 경제주체의 합리성도 인정하지 않는다. 즉 경제는 역동적인 환경과 함께 변화하면서 균형을 이룬다는 것이다.

진화경제학의 핵심은 경제라는 것이 근대경제학에서 이야기하는 것처럼 단순히 수요와 공급곡선에 따라 움직이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물론 진화경제학이 생물학 지식을 받아들이긴 하지만 생물학의 개념들을 그대로 차용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진화경제학에서는 현재 생물학에서 오류라고 판단하고 있는 라마르크의 용불용설 개념을 주요하게 받아들이고 있는데, 이는 인간의 주체성을 인정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