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서강대대학원
- 김성윤
- 서강대학원 신문
- The Social
- 사회적인 것
- 서강대학교
- 푸코
- 서강대학원신문
- 나꼼수
- 비정규 교수
- 논문
- 불안
- 서강대학교 대학원 신문
- 김항
- 서강대 대학원 신문
- 소통
- 아감벤
- 파시즘
- 정치유머
- 총학생회장
- 서강 대학원
- 메타버스
- 서강대 대학원
- AI
- 서강대학교 대학원
- 조효원
- 이명박 정권
- 서강대학원
- 서강 대학원 신문
- 대학원
Archives
- Today
- Total
서강대 대학원 신문사
[169호] 편집장의 글 - 게슈탈트 본문
게슈탈트(Gestalt). 인간의 인식과 경험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심리 학의 한 분야입니다. 개별적 요소들이 모여 전체의 의미와 구조를 형성한 다는 원칙을 강조합니다. 각각의 요소를 단독으로 분석하는 것을 뛰어 넘 어, 요소들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통해 전체적인 의미와 기능이 어떻게 창 출되는지 탐구합니다. 음악을 예를 들어보자면, 개별 음표들의 위치나 길 이의 단순한 합이 아니라, 여러 개의 음표가 조화롭게 어우러져 만들어내 는 선율을 말합니다. 이렇듯 나무와 숲을 바라보는 시각은 우리의 인식과 해석에 영향을 미칩니다.
우리 서강인도 자신의 연구와 학문적 관심 분야에 게슈탈트 이론을 적 용해보는 것이 어떨까요? 복잡한 데이터의 일부, 각각의 사례를 살펴보 는것도의미있지만거시적인맥락에서보다큰의미와흐름을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단순히 새로운 지식을 발견하고, 축적하는 것을 넘어 각각의 지식이 연결되는 방식과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내는 방식을 이해 하는데도움이될수있을것입니다.게슈탈트의시각을통해,여러분의 시간이 더욱 의미 있는 여정이 되기를 바랍니다.
서강대학원신문사 편집장 장 혜 연
'편집장의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1호] 편집장의 글 (0) | 2024.12.13 |
---|---|
[170호] 편집장의 글 (0) | 2024.10.24 |
[168호] 편집장의 글 (0) | 2024.04.29 |
[167호] 편집장의 글 (0) | 2024.01.02 |
[166호] 편집장의 글 - 분노와 일상 (0) | 2023.11.03 |